카테고리 Uncategorized

“끝까지 못 해요” 성인 ADHD의 완벽주의 딜레마

작성자 센터장 · 2025년 06월 29일

성인 ADHD는 충동성과 집중력 부족, 완벽주의는 과도한 기준과 실수 회피 경향으로 대표됩니다. 그런데 이 둘이 동시에 존재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시작은 어렵고, 시작해도 끝내지 못하는 일이 반복되며 자기효능감은 급격히 무너집니다. 이 글에서는 성인 ADHD와 완벽주의가 어떻게 서로를 얽어매며 삶의 진행을 방해하는지, 그리고 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풀어갈 수 있을지를 다룹니다.

 

 

성인 ADHD는 왜 ‘끝까지’가 어려울까?

성인 ADHD(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는 단순한 산만함이 아닙니다. 이들은 아이디어는 넘치지만 그것을 계획, 실행, 마무리하는 능력, 즉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에서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습니다. 할 일은 알고 있지만 집중을 유지하거나 우선순위를 정하는 능력, 마감기한을 지키는 능력이 약한 것이죠.

결과적으로 프로젝트나 업무, 공부를 시작은 하지만 끝맺지 못하는 일이 반복됩니다. 이는 반복적인 좌절과 자책을 낳고, 시간이 지날수록 ‘나는 왜 이걸 못할까?’라는 자기 효능감의 저하로 이어집니다.

게다가 ADHD는 감정 기복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단순한 실패조차 ‘나는 능력이 없어’, ‘이 일은 나랑 안 맞아’처럼 확대 해석되기 쉽습니다. 이는 무기력과 회피 행동으로 이어지며 더 이상 시도하지 않게 되는 부정적 순환을 만듭니다.

그런데 이 ADHD 성향에 ‘완벽주의’가 더해지면 상황은 더욱 복잡해집니다.

 

완벽주의는 ‘끝맺음’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완벽주의는 대개 고성과 지향적인 태도로 알려져 있지만, 실상은 두려움 기반의 통제 욕구가 강한 특성입니다. 이들은 “충분히 잘하지 못할 것 같으면 시작조차 하지 않거나, 결과가 완벽하지 않으면 끝내지 못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결국 그들의 완벽함은 종결 미루기(procrastination of completion)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인 ADHD는 작업을 ‘끝맺지 못하는’ 경향이 있고, 여기에 완벽주의가 더해지면 “끝내고 싶지만 완벽하게 못할까 봐 무서워서” 더 이상 진행을 하지 못하는 심리적 마비 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이런 사람들은 시작 → 몰입 → 점검 → 반복수정 → 중단이라는 악순환을 반복합니다.

특히 완벽주의는 “완성된 결과물이 곧 나의 가치”라는 사고를 강화합니다. ADHD로 인해 산만하게 진행되거나 계획이 흔들릴 경우, 완벽주의는 이를 용납하지 못하며 자기비판과 정서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됩니다.
결국 이는 정서적 탈진(burnout)으로 이어지고, 더는 어떤 것도 시도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버립니

 

 

ADHD와 완벽주의가 공존할 때 생기는 딜레마

성인 ADHD와 완벽주의가 함께 존재할 때 가장 흔히 나타나는 심리적 모순은 바로 “하고 싶지만 두렵고, 시작했지만 끝낼 수 없다”는 딜레마입니다. 이는 마치 두 개의 반대 방향에서 잡아당기는 줄에 묶인 듯한 심리 상태로 이어집니다.

ADHD는 새로운 자극에 민감하며 도전을 좋아하지만, 완벽주의는 실패를 극도로 싫어합니다. 이로 인해 도전은 하되 실수하면 과도한 자기비난이 따르고, 점점 자신의 시도 자체를 불신하게 됩니다.

또한 ADHD는 순서를 정하고 작업을 구조화하는 능력이 부족하고, 완벽주의는 ‘완벽한 순서와 기준’을 고수하려 합니다. 둘 사이의 충돌은 결국 행동의 마비를 초래하고, 머릿속은 복잡하지만 실질적인 행동은 정체되며, 삶의 진척이 더디게 됩니다.

이러한 딜레마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끝까지 해내는’ 경험을 통한 자기 효능감 회복이 중요하며, 그 과정에서는 실패의 수용완성의 기준을 낮추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결론

성인 ADHD와 완벽주의는 각기 다른 성향이지만, 공존할 경우 자기성장의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충동성과 통제, 시작과 회피, 열정과 두려움 사이에서 혼란을 겪는 이 딜레마는 스스로를 마비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하지만 그 딜레마를 이해하고, 조금 덜 완벽하더라도 끝까지 가보는 연습을 통해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완벽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완성을 선택하는 연습이 필요한 때입니다.

You may also like

error: Content is protected !!